기준중위소득 추이 및 2023년 중위소득 45%, 60%, 80%, 100%, 120%, 150%, 18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준중위소득의 정의와 지난 과거의 기준중위소득 추이 및 2023년 중위소득에 대해 간략하고 빠르게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기준중위소득이란?
기준중위소득이란 짧게 줄여 흔히들 중위소득이라고도 부르는데,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매년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20조의 제2항에 따라 중앙생활보장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고시되는 지표를 일컫습니다.
이 기준중위소득이라는 지표는 국가에서 특정 사회보장제도를 만들고 이러한 제도의 혜택을 받을 사람의 기준을 정하는 데 사용되기에 매우 중요한 지표 중 하나라 할 수 있습니다.
일례로 아래와 같은 사항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중위소득은 가구의 수 별로 상이하게 책정됩니다.
"거주급여의 경우 기준중위소득 45% 이하에 해당하는 사람에게 지급하며, 청년월세지원의 경우 기준중위소득 60%에 해당하는 사람에게 지급한다"
중위소득 45%, 중위소득 60%? 무슨 의미일까요?
그렇다면 위에서 이야기하는 중위소득 45% 또는 중위소득 60%란 것은 무슨 의미일까요?
중위소득 45%란 중위소득에 0.45를 곱한 후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수치를 의미하는데, 보통 '월 환산소득이 중위소득 60% 이하에게 지급'과 같은 방식으로 기준이 책정되기에 뒤의 퍼센트가 높을수록 해당 사회보장제도를 통해 혜택을 받는 범위가 더 넓어짐을 의미한다 할 수 있습니다.
기준중위소득 추이 (2021년 ~ 2023년), 2023년 중위소득
위 그래프는 2015년부터 2023년까지의 기준중위소득 추이에 관한 자료입니다.
그래프에서 보시는 것처럼 기준중위소득 수치는 해를 거듭할수록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2015년에서 2019년 사이에는 그 증가율이 완만하였으나 코로나로 인한 경제 부양책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던 2021년부터는 그 증가율이 더욱 커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위: 원)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1인가구 | 1,562,337 | 1,624,831 | 1,652,931 | 1,672,105 | 1,707,008 | 1,757,194 | 1,827,831 | 1,944,812 | 2,077,892 |
2인가구 | 2,660,196 | 2,766,603 | 2,814,449 | 2,847,097 | 2,906,528 | 2,991,980 | 3,088,079 | 3,260,085 | 3,456,155 |
3인가구 | 3,441,364 | 3,579,019 | 3,640,915 | 3,683,150 | 3,760,032 | 3,870,577 | 3,983,950 | 4,194,701 | 4,434,816 |
4인가구 | 4,222,533 | 4,391,434 | 4,467,380 | 4,519,202 | 4,613,536 | 4,749,174 | 4,876,290 | 5,121,080 | 5,400,964 |
5인가구 | 5,003,702 | 5,203,849 | 5,293,845 | 5,355,254 | 5,467,040 | 5,627,771 | 5,757,373 | 6,024,515 | 6,330,688 |
6인가구 | 5,784,870 | 6,016,265 | 6,120,311 | 6,191,307 | 6,320,544 | 6,506,368 | 6,628,603 | 6,907,004 | 7,227,981 |
또한 포스팅의 시작부분에서 언급해드린 것과 같이 기준중위소득은 가구별 인원수에 따라 책정이 되며 2023년 중위소득은 아래와 같습니다.
1) 1인가구 중위소득: 2,077,892원
2) 2인가구 중위소득: 3,456,155원
3) 3인가구 중위소득: 4,434,816원
4) 4인가구 중위소득: 5,400,964원
5) 5인가구 중위소득: 6,330,688원
6) 6인가구 중위소득: 7,227,981원
2023년 중위소득 45%, 60%, 80%, 100%, 120%, 150%, 180%
2023년 기준중위소득을 바탕으로 기초연금, 주거급여 그리고 생계급여 등 주요 사회보장제도 등에 사용되는 주요 소득 기준을 계산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일례로, 4인가구의 2023년 중위소득 45%는 935,051원이며, 2023년 중위소득 60%는 3,240,578원에 해당합니다.
기준중위소득 | 중위소득 45% | 중위소득 60% | 중위소득 80% | |
1인가구 | ₩2,077,892 | ₩935,051 | ₩1,246,735 | ₩1,662,314 |
2인가구 | ₩3,456,155 | ₩1,555,270 | ₩2,073,693 | ₩2,764,924 |
3인가구 | ₩4,434,816 | ₩1,995,667 | ₩2,660,890 | ₩3,547,853 |
4인가구 | ₩5,400,964 | ₩2,430,434 | ₩3,240,578 | ₩4,320,771 |
5인가구 | ₩6,330,688 | ₩2,848,810 | ₩3,798,413 | ₩5,064,550 |
6인가구 | ₩7,227,981 | ₩3,252,591 | ₩4,336,789 | ₩5,782,385 |
기준중위소득 | 중위소득 100% | 중위소득 120% | 중위소득 150% | 중위소득 180% | |
1인가구 | ₩2,077,892 | ₩2,077,892 | ₩2,493,470 | ₩3,116,838 | ₩3,740,206 |
2인가구 | ₩3,456,155 | ₩3,456,155 | ₩4,147,386 | ₩5,184,233 | ₩6,221,079 |
3인가구 | ₩4,434,816 | ₩4,434,816 | ₩5,321,779 | ₩6,652,224 | ₩7,982,669 |
4인가구 | ₩5,400,964 | ₩5,400,964 | ₩6,481,157 | ₩8,101,446 | ₩9,721,735 |
5인가구 | ₩6,330,688 | ₩6,330,688 | ₩7,596,826 | ₩9,496,032 | ₩11,395,238 |
6인가구 | ₩7,227,981 | ₩7,227,981 | ₩8,673,577 | ₩10,841,972 | ₩13,010,366 |
지금까지 '기준중위소득이란' 이라는 주제로 그에 대한 정의와 지난 몇 년간의 기준중위소득 추이 및 2023년 중위소득 45%에서부터 중위소득 60%, 80%, 100%. 120%, 150% 그리고 180%에 해당하는 수치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이를 통해 정부에서 제공하는 각종 사회보장제도의 기준에 대해 보다 명확한 이해를 하실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좋아요' 또는 댓글은 제가 포스팅을 이어나가는 데 큰 힘이 됩니다.
※ 정부지원 서민대출 등 각종 제도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포스팅을 참조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023년 주요 정부지원 서민대출 38가지 한눈에 살펴보기.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금리, 신청, 연장, 추가대출, 서류 그리고 대환대출
대학생 및 청년을 위한 주거안정 월세대출 (소액대출 1% 금리), 월세 부담을 덜어드려요.
2023년 기초연금 인상, 수급자격부터 소득인정액까지, 그래서 40만원은 언제?
2023년 1월 4일부터 부모급여 신청, 지원대상 부터 지원금액까지
'경제적 자유 추구하기 > 경제 관련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새롭게 바뀐 국민취업지원제도 (구직촉진수당, 취업성공수당, 취업활동비용 그리고 취업지원서비스)! (0) | 2023.01.13 |
---|---|
2023년 금리 3.25% 특례보금자리론 (신청, 자격, 조건, 대환 그리고 신청일) (0) | 2023.01.12 |
올해 만19세부터 청년월세지원하고 월 20만원 받아가세요! (0) | 2023.01.11 |
대학생 및 청년을 위한 주거안정 월세대출 (소액대출 1% 금리), 월세 부담을 덜어드려요. (0) | 2023.01.10 |
최신 신혼부부 전세대출,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한 눈에 (조건, 한도, 금리, 보증, 서류 그리고 연장) (2) | 2023.01.09 |
버팀목 전세자금대출로 갈아탈 수 있을까? 전세대출 갈아타기, 대환대출 (0) | 2023.0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