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목 차

    경제적 자유 추구하기/경제 관련 지식

    환실현손익 환차손익 미국주식 양도세 계산용, 실제 수익과는 무관

    by 아지니어 (아빠 + 엔지니어) 2025. 6. 29.

    환실현손익 환차손익 미국주식 양도세 계산용, 실제 수익과는 무관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주식 투자하는 많은 분들이 혼동하고 있는 환실현손익 환차손익에 대하여 영웅문을 중심으로 간략히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미국주식 양도세

     

    최근 해외주식, 특히 미국주식 투자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환율 변동에 따른 손익 관리가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미국주식 투자에서는 주식 매매차익 외에도 매수·매도 시 환율 차이로 발생하는 환차익 혹은 환차손이 나타나며, 이 변동금액을 포함한 환실현손익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해당 포스팅에서는 키움증권 영웅문을 중심으로 미국주식 투자 시 환실현손익과 환차손익의 정의와 계산 방법을 설명하고, 이러한 환실현손익이 양도소득세 (양도세) 계산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간략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환차손익과 환실현손익이란

     

    환실현손익 환차손익

     

    그럼 본격적으로 환실현손익과 환차손익의 개념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환차손익은 해외주식을 달러로 사고팔 때 발생하는 환율 차이에 의한 손익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매수 시점과 매도 시점의 환율이 달러당 1,100원에서 1,200원으로 변동했다면, 매도 환율이 높아 환차익(이익)이 발생합니다.

     

    여기서 환차익이란 “해외주식 매수 시점과 매도 시점의 환율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이익”으로, 주가 변동과는 별개로 발생하는 수익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환율이 하락하면 응당 환차손(손실)이 발생하는데 환실현손익은 이러한 환차익을 포함하여 원화로 환산한 총손익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키움증권 영웅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환실현손익은 주식을 매도한 시점의 환율을 기준으로 계산된 매매이익과 환율 차익을 합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즉, 환실현손익 = (주식 매도 금액 − 매수 금액) + 환율 차이로 인한 손익으로 계산되며, 실제로 달러를 환전하지 않아도 매도 시점의 환율로 가상 계산됩니다.

     

    환실현손익 환차손익

     

    일례로, 특정 미국주식 매수 시 원달러환율이 1,441원이었으며 매도 시 원달러환율이 1,360원이었다면 매도 시 환율이 더 낮기에 환율차에 의한 약 62만 원의 손해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를 환차손익이라고 합니다.

     

    또한 위의 예에서 5.39%의 수익이 발생하여 약 56만원의 수익 (총 실현손익)이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환차손익과 수익금을 합치면 총수익은 마이너스 5만 원이 되는 것인데, 이를 환실현손익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따라서 언뜻 보기에 환실현손익은 내가 벌어드린 또는 손해본 최종 금액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며 단순히 가상(?)의 손익을 나타내는 것인데 관련 보다 상세한 내용은 아래에 설명드리겠습니다.

     

    미국주식 사는법 및 추천, 초보자도 손쉽게! 남는 달러는 RP 투자!

     

    미국주식 사는법 및 추천, 초보자도 손쉽게! 남는 달러는 RP 투자!

    미국주식 사는법 및 미국주식 추천, 남는 달러는 RP 투자!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주식 초보자를 위한 미국주식 사는법과 미국주식 추천에 대한 내용을 간략히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2024년 미

    allmightypapa.tistory.com

     

     

    환실현손익, 총실현손익은 모두 실제 수익과는 무관!!

     

    환실현수익

     

    영웅문을 통해 미국주식 투자하시는 분들이 가장 쉬운 내용 중 하나가 바로 환실현손익으로, 환실현손익 또는 총 실현수익은 실제 본인의 수익과는 상이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다시 말해, 환실현손익 또는 총실현수익은 달러를 원화로 환전한 추정치일 뿐 실제 수익은 이보다 작을 수도 많을 수도 있는 것입니다.

     

    즉, 영웅문에 표기되는 환실현손익과 총실현수익은 모두 특정 주식의 매도와 매수시점의 원달러환율을 반영하여 가계산된 수익일 뿐 이는 본인의 실제 수익과는 상이할 수 있습니다.

     

    일례로, 2025년 1월 초 원달러 환율이 1200원일때 원화를 달러로 환전한 후 특정 미국주식을 5월 원달러환율이 1450원일 때 매수하고 6월 원달러환율이 1380원일 때 매도하여 총 1달러의 수익이 발생하였다고 가정하겠습니다.

     

    해당 경우, 1달러의 수익은 매도 시의 원달러환율이 1,380원이기에 총실현수익은 1,380원이 됩니다.

     

    여기에 매수 그리고 매도시의 환차손익이 환율차 (1450 - 1380)에 의해 -3000원이라고 가정하면, 환실현손익은 최종 -1,620원이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해당 환실현손익은 특정 미국주식의 매수 시 또는 매도 시의 원달러 환율을 반영한 것일 뿐 실제로 투자자가 환전한 시기의 원달러환율은 1,200원이었기에 실제 환차손익은 마이너스가 아닌 플러스인 것입니다.

     

    또한 실제 투자자는 아직 보유한 달러를 원화로 환전하기 이전이므로 실제 환차손익은 향후 원달러환율의 변화에 따라 플러스가 될수도 마이너스가 될 수도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미국주식 투자 시 키움증권 영웅문을 통해 보여지는 환실현손익 또는 총 실현수익은 단순 추정치일 뿐 실제 투자자의 손익을 완벽히 나타내지는 못하며 미국주식 매도 후 예수금을 확인해 보면 원화가 아닌 달러로 표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환차손익

     

    그렇다면 키움증권을 포함한 여러 증권사들은 왜 실제 수익도 아닌 환실현손익과 총 실현수익 그리고 환차손익을 표기해 주는 걸까요?

     

    이는 바로 미국주식 양도세 계산을 위한 것으로, 관련 내용은 아래에서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미국주식 환실현손익과 양도세 계산

     

    미국주식 양도세

     

    위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영웅문에서 제공하는 환실현손익은 바로 미국주식 양도세 계산의 기본 자료가 되는데, 이는 키움증권 영웅문에서도 아래와 같이 명시하고 있습니다.

     

    미국주식 양도세

     

    미국주식 양도세


    미국주식 양도세는 매년 5월 개인별 별도로 신고해야 하는 선택이 아닌 필수 세금으로, 미국주식 양도세 계산 방식은 아래의 별도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미국주식 양도세 신고 홈택스 2025 홈페이지

     

    미국주식 양도세 신고 홈택스 2025 홈페이지

    미국주식 양도세 신고 홈택스 2025 홈페이지 이번 포스팅에서는 매년 5월 서학개미라면 반드시 진행해야 하는 미국주식 양도세 신고 홈택스 2025에 대하여 간략히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미국주

    allmightypapa.tistory.com

     

    매년 미국주식 양도세를 납부하기 위해서는 원화로 환전된 총 수익금액이 먼저 계산되어야 하는데, 개인별 환전한 일자가 모두 상이하고 이를 시스템별로 관리하는 것은 매우 많은 노고가 필요한 일이기에 이를 단순화하고자 특정 미국주식의 매수 시점과 매도 시점의 원달러 환율을 사용하여 환실현손익을 계산하는 것입니다.

     

    이에 달러 환전에 대한 수익의 일부가 미국주식 양도세 계산에 포함되는 것이며, 달러 환전 시 환율차에 의한 수익에는 직접적인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 것입니다.

     

    초간단 달러 사는법 키움증권 원달러 환율 실시간 1430원대

     

    초간단 달러 사는법 키움증권 원달러 환율 실시간 1430원대

    초간단 달러 사는 법 키움증권 원달러 환율 1430원대 이번 포스팅에서는 원달러 환율이 지속적으로 올라감에 따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키움증권을 활용한 초간단 달러 사는법에 대해 간략히

    allmightypapa.tistory.com

     

    이것이 흔히들 이야기하는 달러투자에는 세금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하는 것이며 만약 달러 투자 후 이를 미국주식 투자에 사용한다면 '달러투자 시 세금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말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이라 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환율이 높을 때 미국주식을 매수하고 환율이 낮을 때 미국주식을 매도하였다고 하더라도 환차손익에 따른 손해가 크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사실 아직 달러를 원화로 환전하지 않았다면 이는 사실이 아닐 수 있고 오히려 환실현손익이 마이너스로 표기되기에 향후 미국주식 양도세 계산에는 더 이롭다 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향후 달러를 RP 투자와 같은 곳에 예치하였다가 원달러환율이 상승하였을때 환전한다면 미국주식 양도세 측면에서도 이득일 뿐만 아니라 달러투자로 인한 수익도 기대할 수 있으니 가히 1석 2조로 하겠습니다.

     

    외화 rp 투자 방법, 달러 파킹통장 (키움증권 4%대 금리)

     

    외화 rp 투자 방법, 달러 파킹통장 (키움증권 4%대 금리)

    외화 rp 투자 방법, 달러 파킹통장 (키움증권 4%대 금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달러 투자의 일환으로 외화 rp 투자 방법에 대해 키움증권을 활용하여 짧게 공유해 드리고자 합니다. 외화 rp 투자는 아

    allmightypapa.tistory.com

     

     

    지금까지 키움증권 영웅문을 기준으로 환차손익, 환실현손익 그리고 총 실현수익이 의미하는 바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았습니다.

    원달러환율 변화는 미국주식 투자자의 수익률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에 이에 대한 의미를 명확히 파악하여 미국주식 매수 또는 매도 시점을 슬기롭게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며 긍극적으로는 미국주식 양도세에도 영향을 미치기에 관련 내용을 올바로 습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