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목 차

    경제적 자유 추구하기/경제 관련 지식

    2025년 하반기 미국증시 전망: 미국채 10년물 금리 국제 금시세 기준금리

    by 아지니어 (아빠 + 엔지니어) 2025. 6. 26.

    2025년 하반기 미국증시 전망: 미국채 10년물 금리 국제 금시세 기준금리

     

    미국증시

     

    2025년 6월 24일 기준 글로벌 금융시장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통화정책 변화 예고와 함께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미국채 10년물 금리가 4.3%대를 기록하며 상대적 안정세를 보이는 가운데, 나스닥지수는 연중 최고치에 도전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해당 포스팅에서는 현재 금융시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하반기 미국증시 전망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를 공유해 드립니다.

     

     

    미국채 10년물 금리 현황과 전망

     

    미국채 10년물 금리

     

    최근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2025년 6월 25일 기준 약 4.3% 수준을 등락하고 있으며 해당 포스팅을 작성하는 시점을 기준으로는 4.3%를 하회한 4.29%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미국채 10년물 금리 (출처: 인베스팅닷컴)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5월 중순에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 강화와 미국 재정적자 우려로 약 4.599%까지 급등했으나, 이후 지정학적 긴장 완화와 연준(Fed) 인사들의 완화 신호에 힘입어 서서히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시장에서는 미국채 10년물 금리가 추가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도 늘고 있는데, 실제로 파생시장에서 금리 4%대 진입에 베팅하는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채권왕’ 빌 그로스는 인플레이션과 재정적자 탓에 금리가 4.25% 아래로 내려가기는 쉽지 않다고 지적하며 현재 수준에서 의미 있는 하락 가능성에 회의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트레이딩이코노믹스 분석에 따르면 2025년 하반기까지 10년물 금리가 약 4.38% 수준을 유지하고 1년 후에는 4.35% 선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전반적으로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연준의 정책 방향과 글로벌 경제 동향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으므로 투자자들은 향후 발표되는 연준 성명과 경제지표를 주의 깊게 살펴야 할 것입니다.

     

     

     

     

    또한 현재 미국채 10년물 금리가 4% 초중반대를 여전히 유지하고 있는 것은 시장이 여전히 인플레이션 압박과 경제성장 둔화 가능성을 동시에 고려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으로, 특히 미국채 10년물 금리 전망 측면에서 전문가들은 연내 추가적인 하락 여지가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하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미국채 10년물 금리가 떨어지지 않는다면 시장의 유통자금은 미국채로 쏠릴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며 이는 미국증시 전망에는 긍정적이지 않다 할 수 있습니다.

     

     

    미국증시와 나스닥지수 전망

     

    미국증시

     

    최근 미국증시는 중동 지정학적 긴장 완화와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 속에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6월 24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는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와 S&P500이 각각 1% 이상 상승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일 대비 1.43% 오른 19,912.53에 마감하여 역대 최고치(지난해 2월 기록)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나스닥지수

     

    이 같은 주식시장 상승세는 이스라엘-이란 휴전 소식으로 위험자산 선호가 커진 영향과 함께, 연준 고위 인사들의 금리 인하 가능성 언급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이는데, 월가 주요 금융회사들도 2025년 말까지 미국증시가 추가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예컨대 골드만삭스와 JP모건은 2025년 말 S&P500 지수를 각각 6,500선으로 전망했으며, 도이체방크는 7,000선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미국증시 흐름과 S&P500 전망 (2025년 6월 기준)

     

    미국증시 흐름과 S&P500 전망 (2025년 6월 기준)

    미국증시 흐름과 S&P500 전망 (2025년 6월 기준) 2025년 6월 초 기준으로 미국증시는 트럼프 관세로 인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노동시장 개선 소식과 기술주 중심의 반등에 힘입어 전반적으로 상승

    allmightypapa.tistory.com

     

    이들 기관은 견조한 경제 성장과 곧 시작될 금리 인하 사이클, 인공지능(AI) 분야의 지속적인 투자 확대 등이 미국 시장의 랠리를 뒷받침할 요인으로 꼽았는데 실제로 빌 그로스는 AI 붐에 힘입어 미국 주식시장이 약간의 강세장을 이어갈 것으로 내다보았습니다.

     

    다만, 일부에서는 빅테크 중심의 상승세가 정상화될 수 있고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으로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경계도 제기되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를 요약하면, 현재 미국증시는 전반적으로 우호적인 환경에서 상승세를 타고 있으나 고점을 경신하기 시작한 기술주들의 밸류에이션과 정책 리스크를 주시하며 투자에 임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나 최근 엔비디아 주가가 다시금 상승추세를 타며 미국증시를 이끌고 있는 바 금일 발표될 마이크론 실적 결과도 향후 미국증시 전망에 매우 중요하다 하겠습니다.

     

    2025년 3분기 마이크론 실적발표 일정과 시간 그리고 실적예상

     

    2025년 3분기 마이크론 실적발표 일정과 시간 그리고 실적예상

    2025년 3분기 마이크론 실적발표 일정과 시간 그리고 실적예상 2025년 3분기 마이크론 실적 발표일은 미국 기준으로 6월 25일 수요일 오후 2시 ~ 2시 30분으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한국시간으로

    allmightypapa.tistory.com

     

     

     

    국제 금시세 현황과 전망

     

    국제 금시세

     

    최근 가장 주목받고 있는 안전자산인 국제 금시세(국제 금값)는 최근 온스당 약 3,330달러 선에서 등락하고 있습니다.

     

    국제 금시세의 경우 4월에는 사상 최고치인 3,500달러를 기록했으나, 이스라엘-이란 휴전 소식과 연준의 신중 기조가 겹치며 일시적으로 하락 압력을 받았습니다.

     

    실제로 최근 금값은 한때 온스당 3,296달러까지 떨어졌다가 소폭 반등하여 약 3,320달러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는데, 중동 분쟁이 휴전으로 마무리되면서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줄어든 점이 금값 약세로 이어졌으며, 파월 의장이 기준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고 재차 강조한 것도 금값 하락의 요인으로 분석됩니다.

     

    국제 금시세 (출처: 인베스팅닷컴)

     

    국제 금시세 전망은 금리 인하 시점과도 맞물려 있다 할 수 있는데, 시장금리 하락과 달러 약세는 금을 지지하는 요소이므로, 연준이 하반기에 기준금리 인하를 시작할 경우 금값 상승 여력도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트레이딩이코노믹스는 금값이 올해 말까지 온스당 약 3,416달러까지 오를 것으로 예측했으며, 12개월 전망치도 3,566달러까지 제시했습니다.

     

    또한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2025년 9월 연준 회의에서 금리 인하 확률이 약 85%로 높게 점쳐지는 등, 시장에서는 하반기 금리 인하를 상당 부분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에 전반적으로 국제 금시세는 연준의 통화정책 기조와 글로벌 지정학적 불안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단기적 변동성이 클 것으로 보이지만, 장기적으로는 금리가 내려갈 때 금값의 추가 상승이 기대되는 구도라 할 수 있을 듯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제 금시세 실시간, 국내 미국 금etf 추천

     

    국제 금시세 실시간, 국내 미국 금etf 추천

    국제 금시세 실시간, 국내 미국 금etf 추천 이번 포스팅에서는 안전자산 선호현상이 더욱 뚜렷해짐에 따라 사상 최고가를 연일 갱신하고 있는 국제 금시세 실시간 현황과 국내 금etf 그리고 미국

    allmightypapa.tistory.com

     

     

    미국 기준금리 인하 전망

     

    미국 기준금리

     

    2025년 6월 현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기준금리를 4.25~4.50%로 동결하고 있는데 연준은 6월 회의에서도 6차례 연속 금리를 동결하여 인플레이션 흐름을 관망하고 있으며, 시카고상품거래소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 동결 확률이 여전히 99.9%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하반기 두 차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이미 반영하고 있는 듯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동결할 확률은 15%까지 하락하여 인하 기대가 커진 상태입니다.

     

    실제로 연준 내 일부 인사들은 7월 첫 금리 인하 가능성을 언급했으며 이중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다음 달부터 금리 인하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밝혔고, 미셸 보먼 연준 부의장도 이르면 7월 인하를 지지한다고 말했습니다.

     

    반면 제롬 파월 의장은 의회 청문회에서 “여러 경로가 가능하다”며 인하 여지를 열어두면서도 “특정 회의를 지목하고 싶지 않다”고 선을 그어 조기 인하에 신중한 입장을 유지했습니다.

     

    연준은 여전히 물가 흐름을 예의주시하며 매파적 태도를 유지하고 있지만, 시장은 인플레이션 둔화 신호에 연내 인하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미국 기준금리 인하 전망은 시장 예상과 연준의 신중론 사이에서 팽팽하게 전개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폴리마켓이 보는 2025년 미국 기준금리 인하 전망 FOMC 6월

     

    폴리마켓이 보는 2025년 미국 기준금리 인하 전망 FOMC 6월

    폴리마켓이 보는 2025년 미국 기준금리 인하 전망 FOMC 6월 현재 2025년 6월 기준으로 FOMC 회의 이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미국 기준금리 인하 시점에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인

    allmightypapa.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