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포스팅에서는 우선 자동 광고 설정을 통해 구글 광고를 내 포스팅에 게시하는 방법에 대해 단계별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구글 애드센스에 로그인하신 후 아래와 같이 '광고'라는 메뉴를 선택합니다.
티스토리 구글 애드센스 자동광고 설정 방법 2020, Step by Step (source: 구글)
2. 왼쪽의 '개요'라는 항목에서 가운데 '사이트 기준'을 선택합니다.
해당 화면에 구글 애드센스 승인을 득한 사이트가 표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으며, 애드센스 광고를 게시하고자 하는 사이트의 '연필'모양의 버튼을 클릭합니다.
티스토리 구글 애드센스 자동광고 설정 방법 2020, Step by Step (source: 구글)
3. 다음 화면에서 오른쪽의 '자동 광고'를 선택해 줍니다.
그리고 그 아래 부분에 '광고 형식'과 '광고 로드'를 펼치신 후 본인의 성향에 맞게끔 수정합니다.
참고로, "기존 광고 단위를 최적화할까요"라는 항목은 광고 단위 설정을 통해 구글 애드센스 광고가 게시되어 있는 경우에 이를 자동 광고의 설정에 따라 변경할 것인지의 여부를 묻는 것으로 자동 광고의 설정이 본인의 블로그에 더 적합하다고 판단되시는 경우 선택을 하시면 됩니다.
티스토리 구글 애드센스 자동광고 설정 방법 2020, Step by Step (source: 구글)
아래에 보시는 것처럼 자동 광고에 여러 가지 옵션이 존재하며 추후 광고 클릭률을 모니터링하시며 조금씩 변경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옵션 선택을 마치신 후에는 '사이트에 적용' 버튼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1) 인페이지 광고: 포스팅 내의 글 가운데 게시되어지는 광고를 의미합니다.
2) 일치하는 콘텐츠: 포스팅 글과 관련된 광고만을 게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3) 앵커 효과: 모바일의 경우, 모바일 화면의 윗부분이나 맨 아래 부분에 표기되어지는 광고를 의미합니다.
4) 모바일 전면 광고: 모바일에서 페이지를 변경하는 경우, 그 사이에 화면을 꽉 채우며 제공하는 광고를 의미합니다.
5) 광고 로드: 페이지별 광고가 게시되어지는 숫자를 의미합니다.
티스토리 구글 애드센스 자동광고 설정 방법 2020, Step by Step (source: 구글)
4. 설정이 완료되셨다면 애드센스 홈페이지의 '광고' 탭의 중간 부분에 있는 '코드 가져오기'를 클릭한 후 다음 화면에서 '코드 복사'를 클릭합니다.
티스토리 구글 애드센스 자동광고 설정 방법 2020, Step by Step (source: 구글)티스토리 구글 애드센스 자동광고 설정 방법 2020, Step by Step (source: 구글)
5. 애드센스 코드가 복사가 된 상태로, 티스토리 블로그에 로그인하신 후 메뉴에서 '스킨 편집'으로 이동합니다.
아래와 같은 '스킨 편집' 화면에서 왼쪽 부분의 'html 편집'을 클릭합니다.
티스토리 구글 애드센스 자동광고 설정 방법 2020, Step by Step (source: 티스토리)
6. 아래 그림의 오른쪽 그림과 같은 편집 화면에서 'HTML'부분의 </head>라고 쓰여진 부분을 찾으신 후 그 윗부분에 'ctrl +V'를 통해 복사하신 코드를 붙여 넣습니다.
그리고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티스토리 구글 애드센스 자동광고 설정 방법 2020, Step by Step (source: 티스토리)
수고하셨습니다. 5분이 조금 넘었나요?
자동 광고 설정을 완료하시면 광고 게시가 시작되기까지 최대 1시간이 소요된다고 구글 애드센스 홈페이지에 공지가 되어 있는 듯합니다.
제 경험상, 자동 광고는 어떠한 광고를 해당 포스팅에 띄울지를 결정할 만한 방문자수가 어느 정도 되어야 비로소 본격적으로 자동 광고가 게시되기 시작하는 듯 보입니다.
자동 광고 설정하신 이후, 들어가 보셨는데 광고가 아직 게시되고 있지 않더라도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조금 시간을 두고 기다려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포스팅 본문 내의 지정 위치에 광고를 게시하고 싶으시다면 아래의 포스팅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좋아요' 또는 댓글은 제가 포스팅을 이어나가는 데 큰 힘이 됩니다.
위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나요? 아래의 포스팅들도 관심이 있으실 듯하여 둘러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