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의 경우에는 프롬프트 및 completion을 사용하는 용량에 따라 비용을 납부하거나 챗gpt 플러스 상품을 통해 월정액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하여 이를 수익화 방안으로 삼고 있으나, ms 빙 챗gpt는 검색결과에 광고 게재를 수익화 모델로 삼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현재는 동일 주제 또는 질문에 대해 총 5번의 질문이 가능하고, 하루 총 50번으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2) 프롬프트를 통해 질문 작성 시, 2천자의 작성 제한이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챗gpt-4, ms 빙 chatgpt
3) 챗gpt-3와는 다르게 채팅 이력이 별도로 보관되지 않으며, 새로운 채팅창을 열기 위해 위 화면에서 '새토픽'을 선택하면 기존 채팅 이력은 모두 사라집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챗gpt-4, ms 빙 chatgpt
4) 마이크로소프트 챗gpt는 사용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 제공 시, 아래와 같이 관련 답변 작성의 근거가 되는 사이트나 블로그 정보를 함께 표기해 주고 있습니다 ('자세한 정보').
마이크로소프트 챗gpt-4, ms 빙 chatgpt
마이크로소프트 챗gpt-4, 챗gpt-3와 비교하여 성능 및 검색 품질은 어떤가요?
ms 빙 챗gpt와 챗gpt-3의 성능 그리고 검색 품질에 대한 평가는 개인별 매우 상이할 듯하여 의견을 드리기가 조금 조심스럽습니다만, 제 개인적으로는 코드 작성 문의나 챗봇 훈련을 통한 관련 데이터 추출 등의 목적에는 챗gpt-3가 좀 더 적합해 보였으며, 최신 데이터를 반영한 검색 결과와 보다 상세한 정보를 얻는 데는 마이크로소프트 챗gpt-4가 더 적합하게 느껴졌습니다.
일례로 마이크로소프트 챗gpt-4는 챗gpt-3와는 달리 기존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 후 그와 관련된 또 다른 질문을 스스로 생성하여 질문자에게 보여줌으로써 질문자가 원하는 답변에 근접하게 다가갈 수 있게끔 도와준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즉, 단순 질문에 대한 답변 제공만이 아닌 ms 빙 챗gpt 자체도 질문자에게 질문을 던지며 질문자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서로 힘을 합치고 있어, 챗gpt3와는 달리 흡사 양방향 프롬프트가 가능하다고 느껴질 정도였습니다.
아래는 챗gpt-3와 ms 빙 chatgpt를 통해 엑셀에서 사용할 vba 코드를 요청한 내용인데, 챗gpt-3의 경우 제 질문에 대한 요지를 파악하고 바로 vba 코드를 제공해 주는 반면, 마이크로소프트 챗gpt-4의 경우에는 1 ~ 2단계를 거친 후 vba 코드를 제공받을 수 있어, 코드 작성 요청과 관련해서는 챗gpt-3가 이용에 보다 더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느껴졌습니다.
챗gpt-3 엑셀 vba 코드 요청
마이크로소프트 챗gpt-4 엑셀 vba 코드 요청
또한 챗gpt-3에게 미드저니 명령어 구조 등을 학습시키고, 이를 통해 미드저니 명령어를 자동생성했던 과정을 동일하게 ms 빙 챗gpt에게 적용해 보려 하였으나 마이크로소프트 챗gpt-4는 이러한 학습을 받아들이지는 못하는 듯 보였습니다.
이는 단순 1개의 사례로 실험해 본 내용이기에 일반화하여 말할 수 없는 내용으로 몇 차례 테스트를 더 진행해 보고 최종 결과를 다른 포스팅을 통해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빙 ai 검색엔진의 수익화 모델은 무엇
마이크로소프트 챗gpt-4, ms 빙 chatgpt 미드저니 명령어 학습
※ 챗gpt를 이용한 미드저니 명령어 자동생성 방법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포스팅을 참조하세요.
댓글